본문 바로가기

해외축구

아시안컵을 거머쥔 일본의 결정타가 한국축구에 주는 교훈


거두절미하고 일본의 레프트윙, 나가토모 유토의 돌파에 이은 절묘한 센터링을 도끼로 정확히 찍는듯한 이충성의 골은 일본이 이번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는 충분한 이유를 보여주고 있다.

골을 넣은 선수가 제일 교포라는 점에서 소심한 위로?를 기대하는 것도 중요하지 않고 그렇다고 마냥 몇번 리플레이 되는 화면만을 바라보며  탄성을 자아 낼 처지가  아닌듯 하다.

중요한 것은 한국국대에게 가장 필요한 장면이고 동시에 가장 잘 이뤄지지 않는 장면이라는 점이다.

예로 은퇴를 선언한 이영표 선수는 그동안 탁월한 기량을 아낌 없이 보여주었으나 지금은 예전만 못한듯한 느낌이 들며 크로스가 올라오는 빈도수나 질적인 면에서 왠지 모르는 2% 부족한 느낌은 지울 수 없다. 그리고

반대편인 라이트의 공략을 살펴보도록 하자.

이번 대회에서 라이트 윙어인 이청용은 골을 포함하여 어시스트가 하나도 없다. 그렇다고 경기력이 썩 나쁘다는 것은 아니다. 요지는 적진 깊숙이 파고든 돌파에 이은 크로스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언제부턴가 우리 한국축구는 짧고 정교한 패스를 위주로 공격을 전개하였다. 하지만 골게터는 골게터 다운 모습으로 수비는 수비다운 모습으로 윙어는 윙어로써의 최대한 장점과 그에 적합한 역량을 보여줘야 한다.

그런데 한국축구에 있어서 가장 아쉬운 대목 중에 하나가 바로 전형적이고 위협적인 윙어의 부재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윙어 또한 떄로는 미들로서 역할을 충실히 감당해야 하지만 최소한 한 명 정도의 수비수를 빠른 발과 개인 기술(돌파)로 무력화 시키며 정교한 센터링을 띄울 수 있어야 한다.  국대의 최근의 경기를 살펴보면 이러한 빈공간을 활용한 윙어의 효과적인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고 답이 보이지 않는 전진 패스를 고집하며 행여나 빈공간 침투에 이은 센터링은 동료 공격수와는 전혀 상관 없는 괘적을 그리기 일쑤였다. 윙어들에게서 이러한 치명적인 모습을 기대하지 못하는 이상 윙백에게 이상의 모습을 기대하기란 더욱 곤란한 입장이다.

차두리의 활동패턴이 단조롭기는 마찬가지이다. 물론 간혹 드러나는 순간 스피드를 이용한 돌파와 빈공간을 파고드는 침투는 목격할 수 있으나 결정적으로 마지막 센터링에서의 정확성이 떨어짐을 드러내고 무엇보다 동료를 이용하지 않는 상황에서 단독 개인 돌파에 이은 크로스는 정말 기대하기 어려운 장면이다.

시종일관 보여주는 경기패턴은 상대 수비진들이 철옹성처럼 수비망을 형성하고 있는데 그 공간에 의미 없는 센터링만 날릴뿐이다.
달리 얘기하자면 그리고 쉽게 요약하자면, 상대 골라인까지 최대한 볼을 끌고 들어가 날리는 센터링이 수비들의 위치를 분산시키고 공격력을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사실 윙에서 활발한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다면 다득점을 기대하기 힘들고 보는 이들이나 경기에 임하는 선수 모두 힘겹기는 마찬가지이다. 예로 호주, 이란, 일본 모두가 필드골은 (간신히) 한골 밖에 기록하지 못했다.

이유는 가장 치명적인 공격루트를 개척하지 못했거나 활용하지 못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매번의 경기에서 운이 없다는...혹은 이제 신참이라는 이유로 변명을 늘어놓지 말고 분명한 대안과 개선이 필요하다.
이 부분에 관하여 조감독은 심사숙고해야 할것이다.

[사진-다음 스포츠]

그리고 이충성의 환상적인 골결정력을 칭찬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제일 교포라서 기분이 좋은 것만은 사실이다. 하지만  국적을 떠나 그의 골은 정말 박수 받기에 충분한 자격을 갖고 있다. 한편으로 과연 우리 국대 가운데 저러한 골을 연출시킬 수 있는 선수가 과연 누구인가.? 라는 반문은 당연지사인듯 하다.  그동안 수도 없이 날려 버린 슛찬스의 모습을 짚어보면 정확한 임팩트를 가하지 못하고 그리고 맥이 풀린 소녀슛?하며 기다리지 못하고 날린 성급한 슛은 하늘을 향해 치솟는 경우가 한두번이 아니다.

지동원선수가 벨바토프의 동영상을 보며 골게터의  교과서라고까지 하면서 연구했다고 한다. 골은 운이 좋아서 혹은 재수가 따라서 이뤄지는 것이다. 아니다. 마찬가지로 한국 축국의 공격진들에게 있어서 예전처럼 되풀이 되어 온 골 결정력에 관하여 깊은 고민과 훈련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아무쪼록 신예들의 가능성을 충분히 살필 수 있는 이번 대회이기에 다음 번의 경기에 더욱 관심이 가는 것은 사실이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1) 개인 돌파에 이은 치명적이고 정확한 센터링과 

        (2) 정확하고 차분한 골 결정력을 우리 한국축구가 앞으로 풀어가야 할 우선 과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